직업의 달인

이색 직업부터 진로 고민 상담까지! 흥미롭고 유익한 직업 정보를 제공하는 블로그, '직업의 달인'에서 미래를 설계해보세요.

  • 2025. 7. 10.

    by. 직업 컨설턴트

    목차

      반응형

      자산관리사는 요즘 금융권 취업 시장에서 가장 주목받는 직업 중 하나입니다.
      은행, 증권사, 보험사뿐 아니라 독립 재무설계사로도 활동할 수 있어 커리어 폭이 넓고 연봉 수준도 높은 편이죠.

      특히 “자산관리사 연봉”과 “채용” 정보는 많은 분들이 가장 궁금해하는 분야이기에, 2025년 최신 기준으로 정리해봤습니다.

      자산관리사 연봉과 채용, 2025 최신 정보 총정리!

      1. 자산관리사란?

      자산관리사는 고객의 자산 상황을 종합적으로 분석하고,

      • 투자
      • 보험
      • 세금
      • 은퇴
      • 상속·증여

      등 재무전반을 설계·관리해주는 금융 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에서 자주 언급되는 관련 자격증은 AFPK(2급 수준)와 CFP(1급 수준)으로,

      이 두 자격이 자산관리사 커리어의 핵심이 됩니다.


      2. 자산관리사 연봉은 얼마일까?

      자산관리사 연봉은 크게 소속과 개인 영업력에 따라 달라집니다.

      (1) 은행·증권·보험사 소속

      • 신입 초봉 : 약 3,200만 원 ~ 4,500만 원
      • 3~5년 경력 : 4,500만 원 ~ 6,500만 원
      • 팀장급 이상 : 7,000만 원 ~ 1억 원 이상

      성과급 비중이 상당히 크며, 특히 증권사 PB센터 근무 시 억대 연봉도 가능합니다.
      대형 금융사일수록 CFP 소지자에게 더 높은 연봉을 제시하곤 합니다.


      (2) 독립 자산관리사(IFA)

      • 수입 편차 매우 큼 → 연 3,000만 원 미만 ~ 수억 원 이상
      • 고정 급여보다는 컨설팅 수수료·성과 보수로 수익을 올림
      • 영업력, 고객 네트워크에 따라 수입 격차 극심

      (3) 금융 컨설팅 법인 소속

      • 신입 연 3,000만 원 ~ 4,000만 원
      • 경력자 연 4,500만 원 ~ 6,000만 원
      • 법인 규모·매출에 따라 큰 차이 존재

      AFPK vs CFP 연봉 차이

      • AFPK
        • 주니어급 연봉 수준
        • 중소 금융기관에서는 AFPK만으로도 충분
      • CFP
        • 대형 금융사, 고액 자산가 담당 시 필수
        • AFPK보다 평균 연 1,000~2,000만 원 연봉이 더 높음

      3. 자산관리사 채용 현황 (2025)

      자산관리사 채용은 신입보다 경력직 수요가 훨씬 많고, 아래와 같이 채용 분야가 다양합니다.


      (1) 은행

      • PB센터, WM센터
      • 개인·기업 고객 자산관리
      • CFP 소지자 우대
      • 고객 관리 능력 중요

      (2) 증권사

      • WM센터, PB센터
      • 초고액 자산가 담당
      • 실적 기반 성과급 구조
      • 억대 연봉 가능성 ↑

      (3) 보험사

      • FP, FC에서 자산관리로 영역 확대
      • 연금·세금·부동산 컨설팅
      • AFPK, CFP 자격 선호

      (4) 독립 자산관리사(IFA)

      • 금융사 소속 아닌 프리랜서 혹은 법인 소속
      • 수수료 기반 → 수익은 영업력에 달림
      • 다양한 금융상품 판매 가능

      4. 자산관리사 채용 자격 요건

      • AFPK, CFP 자격증
      • 금융 관련 경력 (은행, 증권, 보험)
      • 투자권유자문인력, 펀드투자권유자문인력
      • 고객 상담 경험
      • 영업력, 커뮤니케이션 스킬
      • 고액자산가 관리 경험 (특히 증권사)

      5. 자산관리사 채용 절차

      대형 금융사의 경우 아래와 같은 절차를 거칩니다:

      1. 서류 전형
      2. 적성검사 혹은 필기시험
      3. 1차 면접 (고객상황 시뮬레이션 포함)
      4. 임원 면접
      5. 최종 합격 후 OJT 교육

      6. 자산관리사 채용 트렌드 (2025)

       고령화 → 은퇴 설계 수요 급증
       AI로 대체 안 되는 ‘맞춤형 컨설팅’ 역량 중요
       증권사·은행 PB센터 인력 꾸준히 채용
       MZ세대 고객층 겨냥, 젊은 PB 선호 증가


      7. 자산관리사 채용 공고, 어디서 찾을까?

      • 잡코리아, 사람인
      • 금융권 전문 취업 사이트
      • 각 금융사 채용 홈페이지
      • 헤드헌터, 스카우트 제의
      • 금융권 취업 커뮤니티 (네이버 카페 등)

      마무리

      자산관리사는 여전히 고수익을 노릴 수 있는 매력적인 직업입니다.
      하지만 실적 중심 직무이므로 안정성을 원한다면 금융권 소속이 유리하고,

      수익 극대화를 원한다면 **독립 자산관리사(IFA)**로 도전할 만합니다.

      자산관리사 연봉과 채용 모두 꾸준히 상승세이니,

      관심 있는 분들은 AFPK, CFP 취득을 목표로 준비하시면 분명 커리어에 큰 도움이 될 거예요!

      반응형